본문 바로가기
부자로가는길/주식은 일상

존리가 말했던 주식은 어떻게 하면 잘 할 수 있는가? - 지적 고통의 세계 속으로

2019. 12. 9.
반응형

이전 글에서 메리츠자산운용 존리 대표가 했던 말을 떠올려보면

결국 부자가 되려 노력해야하고 그 중에 주식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2019/12/05 - [부자로가는길/주식은 일상] - 존리 대표가 말하다, 당신도 부자가 될 수 있다

존리 대표가 말하다, 당신도 부자가 될 수 있다

오늘은 여러분이 부자가 되고 싶다면 첫번째로 하셔야할 마인드 세팅을 위한 유튜브 영상 시리즈를 2개 들고 왔습니다. <존리 1부> 부자들은 알고 가난한 사람은 모르는 것 요즘 돈과 관련된 컨텐츠로 한창 잘나..

21savvy.tistory.com

 

아니 근데 주식은 0.1%의 고수들만 살아남고,

나머지 99.9%는 본인 돈 주식시장에 기부하는 곳이 아니던가?

주식은 도박이다 하면 안된다라고 생각하는 개미들 투성이 아니던가?

나도 결국 수많은 개미가 되는 게 아닌가?

 

사실 이성적으로 생각하면 그렇다.

하지만 주식이란 결국 운동이나 공부를 하듯 습관처럼 몸에 베이게 되면

0.1%만 성공한다는 주식시장에서 점점 나이가 들어가며

그 0.1% 가까워질 것이라는 게 다음 영상들의 내용이다.

 

<김한진 1부> 주식투자 실패하는 이유

 

이번에도 갓오브자본주의유튜버이신 신사임당님께서

주식세계를 업으로 삼으셨던 김한진 박사님을 인터뷰한 영상이다.

 

 

34년간 주식시장에 몸담았던 김한진 박사

 

 

김한진 박사

- KTB투자증권 리서치본부 수석연구위원

- 피데스자산운용 부사장

- 삼성자산운용 수석 이코노미스트

-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

- 흥국증권 전무

- 1986년 신영증권 조사부 입사

 

프로필 보면 누가봐도 증권계에서 마스터하신 분이다.

근데 주식은 정말 어렵고

책, 영상, 강연에서 말하는 주식 관련 이야기대로

똑같이 한다고 성공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고 하고,

오히려 이것들은 쓰레기라고 말씀하신다.

 

그리고 주식시장에서 99% 돈을 잃는 사람들은

기관 흔히 말하는 연기금.... 증권사... 펀드매니저, 분석가라고 한다

아니 왜 저런 전문가들이 왜 돈을 잃지?

저 사람들이 제일 많이 벌어야하는 거 아닌가?

라는 의문이 들지만 주식시장은 심리게임이다...

증거를 가지고 투자하기엔 주식은 너무나 살아있는 생명체라고 한다

 

주식은 정말 살 때는 기술, 팔 때는 예술이라고...

이게 사람들이 그냥 하는 말이 아니라 정말 맞는 말이다.

주식은 감으로 하는 것이라 말씀하실 때

진실된 말씀만 하시는 분이라는 것이 확 와닿았다.

 

주식은 정말... 알다가도 모를 존재.

그래서 본인만의 스타일을 가져가야하고

이런 스타일을 통해 자신만의 노하우를 쌓아가야한다.

이건 결국 주식시장에서도 노력을 해야한다는 사실이다.

 

<김한진 2부> 김한진이 예상하는 2020년

 

그래서 와 나도 주식 열심히 해봐야겠다... 마음 먹었지만

하지만 당장 내년 2020년의 주식시장은 정말 쉽지 않은 시장이라 한다...

그러나 좋은 주식을 정말 싸게 고를 수 있는 찬스 또한 온다고 말씀하신다.

주식시장에서 좋은 주식을 고르는 것.

그것이 결국 부동산에 접근하기엔 금전적 여유가 없는

우리같은 일반인에게는 확실하게 가져가야할 투자방법이라 생각된다.

 

김한진 박사님께서 주식에 대한 관점을 요리와 같이 비유하였다.

요즘 유튜브나 블로그를 통해 그 누구나 어떤 요리든 만들어낼 수 있다.

하지만 몇년간 요식업에 몸담궜던 쉐프는 요리에 대한 감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같은 요리를 같은 재료로 같은 프로세스로 만들었다해도

그 감에서 나오는 요리의 풍미는 일반인이 흉내낼 수 없다.

 

그렇다 주식은 어렵다.

그러나 주식은 해야한다.

주식은 건강에 좋으며 매력적인 요리이다.

계속해서 요리하며 요리법을 조금씩 바꿔나간다면

우리도 결국 성공할 수 있지 않을까?

 

자본주의에서 투자는 필수불가결한 존재이고,

평생을 즐길 수 있는 지적인 게임이자,

나의 부를 엄청나게 불려줄 수 있는 저렴한 창업이다.

 

반응형